설정 - yml

application.properties를 사용해도 되지만, 설정 파일이 복잡해지고 많아지면 yml이 더 좋은 선택일 수도 있습니다. 그래서 이번에는 yml로 설정 파일을 만들겠습니다.

main/resources에 있는 application.properties를 지우고 application.yml를 만듭니다.

Untitled

spring:
  datasource:
    url: jdbc:h2:tcp://localhost/~/jpashop
    username: sa
    password:
    driver-class-name: org.h2.Driver //...1
  1. driver-class-name: org.h2.Driver

위의 코드까지만 써도 HikariCP를 사용해서 커넥션 풀 같은 것들을 스프링 부트가 세팅을 해줍니다.

[참고]

application.properties database 설정 참고

이제 JPA와 관련된 세팅을 해봅니다. 그대로 이어서 작성합니다.

...

  jpa:
    hibernate:
      ddl-auto: create //...1
    properties: //...2
      hibernate:
#        show_sql: true //...3
        format_sql: true //...4
  1. ddl-auto: create

  2. properties

  3. show_sql: true

  4. format_sql: tru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