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PA 2.1부터 지원하는데요 보통 2.1 이상을 쓰기 때문에 걱정 안해도 됩니다.
ON절을 활용한 조인을 사용하는 경우는 2가지가 있습니다.
보통 on 절은 연관관계 없는 엔티티 외부 조인을 할 때 자주 사용합니다.
→ JPQL 참고
회원과 팀을 조인하면서, 팀 이름이 teamA인 팀만 조인, 회원은 모두 조회하는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봅시다.
쿼리를 예측하면 아래처럼 작성할 수 있겠죠.
@BeforeEach
void setUp() {
queryFactory = new JPAQueryFactory(em);
Team teamA = new Team("teamA");
Team teamB = new Team("teamB");
em.persist(teamA);
em.persist(teamB);
Member member1 = new Member("member1", 10, teamA);
Member member2 = new Member("member2", 20, teamA);
Member member3 = new Member("member3", 30, teamB);
Member member4 = new Member("member4", 40, teamB);
em.persist(member1);
em.persist(member2);
em.persist(member3);
em.persist(member4);
}
@DisplayName("회원과 팀을 조인하면서, 팀 이름이 teamA인 팀만 조인, 회원은 모두 조회")
@Test
void join_on_filtering() {
List<Tuple> result = queryFactory
.select(member, team)
.from(member)
.leftJoin(member.team, team).on(team.name.eq("teamA"))
.fetch();
for (Tuple tuple : result) {
System.out.println("tuple = " + tuple);
}
}
Tuple 로 가져오는 이유는 select 에 여러가지 타입이 있기 때문입니다.
→ 자세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