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스프링 빈을 찾는 가장 기본적인 조회 방법

처음이니까 한번 sout으로 찍어봅시다.

package hello.core.beanfind;

import hello.core.AppConfig;
import hello.core.member.MemberService;
import org.junit.jupiter.api.DisplayName;
import org.junit.jupiter.api.Test;
import org.springframework.context.annotation.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;

public class ApplicationContextBasicFindTest {

  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=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(AppConfig.class);

    @Test
    @DisplayName("빈 이름으로 조회")
    void findBeanByName() {
        MemberService memberService = ac.getBean("memberService", MemberService.class);
				//...1
        System.out.println("memberService = " + memberService);
				//...2
        System.out.println("memberService.getClass() = " + memberService.getClass());
    }
}
  1. 빈 객체(인스턴스)를 조회합니다.
  2. getClass() : 해당 객체의 클래스 정보를 전달해주는 역할을 합니다. 예를들어 클래스 이름이라던가 필드 정보나, 메소드 정보 등등을 알려줍니다.

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.

Untitled

MemberServiceImpl 나오고 클래스 타입도 MemberServiceImpl로 잘 나왔습니다.

타입은 MemberService이지만 실제 구현 객체는 MemberServiceImpl이 나옵니다.

<aside> ❗

DiscountPolicy는 인터페이스이므로 부모 타입으로 쓸 수 있습니다.

예를 들어 HashMap<String, String> map = new HashMap<>();으로 할 수도 있지만 Map<String, String> map = new HashMap<>();으로 할 수도 있습니다.

이렇게 사용하는 이유?

</aside>

검증을 해봅니다.

...

		@Test
    @DisplayName("빈 이름으로 조회")
    void findBeanByName() {
        MemberService memberService = ac.getBean("memberService", MemberService.class);
				//...1
        assertThat(memberService).isInstanceOf(MemberServiceImpl.class);
		}

...
  1. isInstanceOf

실행하면 성공합니다.

Untitled